자동차/자동차 RECALL
반응형

이미지 : google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쌍용자동차㈜가 티볼리, 코란도 C 등 2개 차종 7만 4,043대의 배출가스 부품 결함을 개선하기 위해 2월 26일부터 결함시정(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함시정은 쌍용자동차㈜가 2015년과 2016년에 판매한 티볼리와 코란도 C 차종의 산소센서 결함건수와 결함률이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의무적 결함시정' 요건*에 해당함에 따른 것이다.
* 결함률: 같은 연도에 판매된 같은 차종, 동일 부품의 결함률이 4% 이상이고 결함건수가 50건 이상

리콜 대상 차량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7년 7월 13일까지 생산된 티볼리 디젤 5만 2,587대와 2015년 7월 1일부터 2017년 7월 17일까지 생산된 코란도 C 디젤 2만 1,456대다.

환경부와 쌍용자동차㈜는 해당 부품의 결함이 의무적 결함시정 요건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쌍용자동차㈜는 지난 1월 29일 환경부에 결함시정계획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는 해당 결함시정계획서의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2월 22일자로 결함시정계획을 승인했다.

쌍용자동차㈜는 해당 차종의 결함원인을 분석한 결과, 산소센서 튜브 내부에 입자상물질(PM)이 과다하게 퇴적되어 센서의 응답시간이 지연되고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산소센서 내부에 입자상물질이 퇴적되어 '기체의 흐름(유로)'이 막히면 엔진 제어 기능이나 질소산화물저감촉매의 재생 등에 대한 센서의 감시능력이 떨어져 배출가스가 과다하게 나올 수 있다.

쌍용자동차㈜는 환경부의 결함시정계획 승인에 따라 해당 차종 소유자에게 결함시정 사실을 알리고 2월 26일부터 리콜을 개시한다.

해당 차량 소유자는 전국 쌍용자동차㈜ 정비 네트워크에서 개선된 사양의 산소센서로 교체 및 전자제어장치 소프트웨어 개선 조치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쌍용자동차㈜ 고객센터(☎ 080-500-5582)로 문의하여 안내받을 수 있다.


자료 : 환경부

728x90
반응형

'자동차 > 자동차 REC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디 A4,A5,Q5리콜  (0) 2018.03.08
휠허브 문제로 QM3 리콜  (0) 2018.03.08
볼보트럭 리콜  (0) 2018.03.02
푸조 3008 & Q30 시정조치(리콜)  (0) 2018.02.28
혼다 CR-V&CROSSTOUR 리콜  (0) 2018.02.22
자동차/자동차 RECALL
반응형


볼보그룹코리아(주)에서 제작하여 판매한 자동차 FH 카고 등 4개 차종 1,444대 및 건설기계 덤프트럭 FM84FR3HA 등 5개 모델 1,364대는 에어백(다카타社) 전개 시 인플레이터의 과도한 폭발압력으로 발생한 내부 부품의 금속 파편이 운전자 등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해당차량은 3월 5일부터 볼보그룹코리아(주)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에어백 교환 등)를 받을 수 있다.  


이번 리콜과 관련하여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리콜 시행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해당차량 모델



기타 궁금한 사항은  볼보그룹코리아(주)((자동차)080-038-1000, (건설기계)(031-379-4858))로 문의하면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자동차 및 건설기계의 결함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작결함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자동차 및 건설기계 리콜센터(www.car.go.kr, 080-357-2500)를 운영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상시적으로 해당 차량의 리콜대상 여부 및 구체적인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자료 : 국토교통부


728x90
반응형
Stock의 이해
반응형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의 부진


- 2017년 4분기 영업이익 시장예상치 약30%하회 


- 영업이익률 높은 국내공장 매출 감소로 인해 영업이익률 0.4%기록


- 현대차 2018년 1월 미국 판매량 11.3% 감소 4만 1242대(미국시장 점유율 3.6%)로 부진


- 현대차는 미국판매 회사중 승용차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최근 suv인기에 대응 못함


- 도요타 신형 캠리 약21%증가하며 현대 소나타 약 21%감소


자료 : 머니투데이


2018년 기저효과


- 북미시장내 코나 판매량은 2분기이후 본격화


- 신형산타페 투입으로 판매량 증대 기대


- 중국사드영향 완화로 중국판매 증대


- 환율악화로 기저효과 저하 우려



현대자동차의 2018년은 녹록치 않은 한해가 될거 같습니다. 북미시장은 계속해서 suv와 픽업트럭 시장위주로 성장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 대응하진 못한 이유가 북미시장 판매량 저하로 나타난거 같습니다. 2018년 2월 판매량에서 코나와 투싼의 판매량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19% 증가 했다고 하지만 전체적인 판매량에서는 13%감소한 4만6095대를 판매했습니다. 


중국 시장에 이어 줄곧 2위 시장이었던 북미 시장이 2017년에는 국내시장보다 줄어 국내판매량이 현대자동차의 2위 시장이 되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절대적인 점유율로 현재의 시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국내 시장도 현대자동차에 대해 우호적인 상황만은 아닙니다. 

자료 : 신영증권


쌍용자동차의 티볼리를 견제하기 위해서 현대에서는 코나를 출시하였습니다. 코나의 출시 이면에는 현대자동차 suv asp하락이 있었습니다. 물론 제네시스와 그랜져IG판매 호조로 내수 전체 asp는 상승하였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성장의 해외판매량의 증가와 함께 여기까지 왔습니다. 사드영향의 역풍을 이겨내고 중국시장 판매확대와 북미시장의 판매량 회복, 유럽시장에서의 친환경자동차와 소형suv 판매 성장을 기대해 봅니다.



728x90
반응형

'Stock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수출입 동향  (0) 2018.03.06
현대차와 미국철강관세부과  (0) 2018.03.05
2018년 2월 소비자심리지수와 소비  (0) 2018.02.28
한국토지신탁  (0) 2018.02.26
쌍용자동차 미래와 코란도c후속  (0) 2018.02.24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 115
블로그 이미지

일상의 도움이 되는.._$!__

주식부농ㅎ